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독후감
- 오블완
- 김호연작가
- 책리뷰
- SQL
- Jupyter notebook
- 스플라인
- PRML
- 제주2주살이
- digital marketing
- 혼공S
- GenAI
- 유럽여행
- 제주도
- R
- 혼자공부하는SQL
- PRIMARY KEY
- Github
- Linux
- 보조인덱스
- 클러스터형인덱스
- 런던
- 에이바우트
- 영국여행
- 티스토리챌린지
- 제주도여행
- RStudio
- 스토어드 프로시저
- 디지털마케팅
- 맛집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tudy (49)
Soy Library

Stein's Paradox 통계학에서의 추정량의 Efficiency의 정도는 MSE를 기준으로 한다. MSE(Mean Squared Error)가 작으면 작을수록 그 추정량은 좋은 추정량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bias가 0인 비편향추정량으로 MLE와 UMVUE가 좋은 추정량으로 생각되는데 Stein's Paradox는 bias가 있다 하더라도 MSE가 더 작게 만들 수 있는 더 좋은 추정량을 생각해낸다. 그 추정량은 'James-Stein Estimator'라고 불린다. JS estimator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모수의 개수 p가 3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JS 추정량의 Risk는 MLE나 UMVUE의 것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S 추정량은 각각의 component들을 origin쪽..
Study/Statistics
2020. 4. 25. 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