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책리뷰
- 제주도
- 에이바우트
- 클러스터형인덱스
- Github
- 티스토리챌린지
- Jupyter notebook
- 런던
- 맛집
- 디지털마케팅
- SQL
- 혼공S
- 김호연작가
- 오블완
- 제주도여행
- 혼자공부하는SQL
- RStudio
- Linux
- 독후감
- 스플라인
- 유럽여행
- 보조인덱스
- 영국여행
- GenAI
- digital marketing
- R
- PRML
- 스토어드 프로시저
- 제주2주살이
- PRIMARY KEY
- Today
- Total
목록Study (49)
Soy Library

좀 더 효율적인 SQL을 만들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내부적인 구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데이터를 만들 때에는 형식을 설정해야 하는데, 크게 숫자형, 문자형, 날짜형이 있다. 데이터 형식 정수형: 소수점이 없는 숫자, 예컨데 인원 수, 가격, 수량 등에 많이 사용하게 됨. TINYINT: -128 ~ 127 SMALLINT: -32,768 ~ 32,767 INT: 약 -21억 ~ +21억 BIGINT: 약 -900경 ~ +900경 아래와 같이 테이블을 만들고 각 열의 최댓값을 입력해본다. USE market_db ; CREATE TABLE hongong4 ( tinyint_col TINYINT, smallint_col SMALLINT, int_col INT, bigint_col BIGINT);..

SELECT문은 이미 만들어져 있는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구문이다. 이 절에서는 데이터의 입력, 수정, 삭제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려 한다.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는 INSERT, 데이터를 수정할 때에는 UPDATE, 데이터를 삭제할 때에는 DELETE를 사용한다. 데이터 입력: INSERT INSERT는 데이터를 삽입하는 명령이다. 기본적인 형식은 아래와 같다. INSERT INTO 테이블 [(열1, 열2, ...)] VALUES (값1, 값2, ...) ; 위의 구문에서 테이블 다음에 오는 열의 리스트는 생략 가능하다. 하지만 VALUES 다음에 오는 값은 테이블의 열 개수와 동일해야 한다. hongong1 이라는 테이블을 만들고 데이터를 입력해보자. 아래와 같이 쿼리문을 작성하면 테이블이..

이 절에서는 SELECT 문에서 결과 정렬을 위한 ORDER BY, 결과의 개수를 제한하는 LIMIT,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는 DISTINCT 등을 사용하는 법을 배운다. 또한 GROUP BY를 사용하여 지정한 열의 데이터들을 같은 데이터끼리는 묶어서 결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주로 합계, 평균, 개수 등을 처리하므로 집계함수와 같이 쓰이고 HAVING 절을 통해 조건식을 추가할 수 있다. ORDER BY 절 먼저 기본적인 SELECT 절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SELECT 열_이름 FROM 테이블_이름 WHERE 조건식 GROUP BY 열_이름 HAVING 조건식 ORDER BY 열_이름 -- ** LIMIT 숫자 -- ** member 데이터에서 데뷔일자가 빠른 순으로 mem_id, mem_n..

실습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market_db 만들기 # 만약 market_db가 존재하면 우선 삭제 DROP DATABASE IF EXISTS market_db; # market_db 만들기 CREATE DATABASE market_db; USE 문은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문장: 2장에서 더블클릭으로 shop_db를 선택했는데 그와 같은 과정. USE market_db; Create table 문을 통해서 member 테이블을 만듦. 멤버 테이블은 mem_id를 primary key로 하였고, buy 테이블에서는 num을 primary key로 하였다. auto_increment: 자동으로 숫자를 입력해준다는 의미로, 순번을 직접 입력할 필요 없이 1, 2, 3, .... 순으로 자동으로 증가하게 됨. ..

건물을 짓기 위한 설계도: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건축 설계도를 그리는 것처럼, 테이블의 구조를 미리 설계하는 개념.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은 우리가 살고있는 세상에서 사용되는 사물이나 작업을 DBMS의 데이터베이스 개체로 옮기기 위한 과정. 우리는 테이블이라는 개체로 변환하게 됨.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을 사용하고,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은 폭포수 모델의 업무 분석과 설계 단계에 해당. * 폭포수 모델 프로젝트 계획 업무 분석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 폭포수 모델의 가장 큰 단점은 폭포에서 내려가는 건 쉬워도 다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힘들다는 것. 하지만 단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지금도 많이 사용되고 있음. 기본 키(Primary k..

데이터베이스와 SQL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데이터의 집합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MySQL Oracle SOL server MariaDB 등 DBMS에 데이터를 구축,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언어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이고, SQL을 사용하면 DBMS를 통해중요한 정보들을 입력, 관리하고 추출할 수 있음. DBMS의 분류 계층형(Hierarchical): 트리의 형태를 가짐. 처음 구성을 완료한 후에 변경하기가 까다로움. 다른 구성원을 찾아가는 것이 비효율적.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형태. 망형(Network): 하위에 있는 구성원끼리도 연결되어있는 상태. 하지만 사용자가 모..

Github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해보기 위해 sourcetree를 이용하려고 하였다. 로컬에서 코드를 수정하면 sourcetree를 통해 코드 수정 history와 같이 github에 올릴 수 있다고 한다. 근데 pull을 하려고 하니 빨간색 경고 알림이 뜨더니 Authentication failed for "내 깃허브 주소" 라고 뜨면서 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본인의 깃헙 계정에 들어가서 설정 버튼에서 Settings를 눌러준다. 2. 왼쪽에 카테고리에서 Developer settings를 클릭한다. 3. 왼쪽의 카테고리에서 Personal access tokens를 클릭한다. 4. 오른쪽 상단의 Generate new token을 클릭한다. 5. No..
"If S, then N" = "S는 N에 대해 sufficient condition이다." S가 사실이라면 N은 무조건 사실일텐데, N이 사실이 아니라고 해서 S가 무조건 사실이 아니라는 보장은 못 함. = "N은 S에 대해 necessary condition이다." N의 사실여부가 S의 사실여부에 대해 보장됨. 즉, S가 사실이라면 N은 무조건 사실임. 내 연구에 적용해보자면, "Constant, linear, quadratic B-spline에서의 계수가 non-decreasing sequence라면, spline은 monotone increasing하다." → B-spline의 계수가 non-decreasing sequence 라는 것은 spline이 monotone increasing 하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