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y Library

[Linux] vi 에디터 본문

Study/Linux

[Linux] vi 에디터

Soy_Hwang 2022. 3. 6. 19:49

VI editor란?

Bill Joy가 1976년도에 만든 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주로 쓰이는 오픈 소스 문서 편집기이다. 한 줄씩 편집하는 줄 단위의 편집기가 아니라 한 화면을 편집하는 비주얼 에디터라는 뜻이다. 

 

vi editor 시작하기

Shell에서 'vi 파일명'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vi editor의 창이 뜨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vi test.txt

 

vi editor의 세 가지 mode

1. 일반모드

vi editor를 맨 처음에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는 모드이다. 입력모드와 명령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모두 일반모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입력모드와 명령모드 상태에서 ESC를 누르면 일반모드로 돌아올 수 있다.

기능
0 커서 라인의 맨 앞으로 이동
$ 커서 라인의 맨 뒤로 이동
w & #w 현재 커서를 기준으로 다음(#개) 단어로 이동
b & #b 현재 커서를 기준으로 이전(#개) 단어로 이동
G 한 문서의 마지막 행으로 이동
g 한 문서의 처음 행으로 이동
y & #y 현재 커서의 한(#개) 문자를 복사
yy 커서가 있는 행 복사
p & P  커서 다음에 (이전에) 붙여넣기
dd 커서가 있는 행 삭제
x & #x 커서가 있는 글자 (#개) 삭제
u 이전으로 되돌리기 (undo)
Ctrl + r 되돌리기 한 것을 다시 실행 (redo)

 

2. 입력모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이다. vi editor 창의 맨 아래에 "--INSERT--"라고 뜬다. 

일반모드에서 아래와 같은 key를 누르게 되면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기능
i 현재 커서의 왼쪽부터 입력
I 현재 행의 처음 부분부터 입력
a 현재 커서의 오른쪽부터 입력
A 현재 행의 마지막 부분부터 입력
o 다음 행에 빈 줄을 생성한 후 입력
O 이전 행에 빈 줄을 생성한 후 입력
s 현재 커서에 있는 문자를 지우고 입력
S 현재 커서의 행을 지우고 입력
R 커서 위치부터 글자를 지우면서 입력

 

3. 명령모드

일반모드에서 '콜론(:)'을 쓰면 명령어 실행 모드로, '/'는 아래로 검색 모드로, '?'는 위로 검색 모드로 활성화된다. 

아래는 명령모드에서 많이 쓰이는 단축키이다.

기능
:w 파일 저장
:w! 강제로 파일 저장
:q (저장하지 않고) vi 종료
:q! (저장하지 않고) vi 강제 종료
:wq! (저장 후) vi강제 종료
:set nu & :set nonu 행 번호 표시 & 행 번호 표시 제거
:set list & :set nolist tab문자 또는 개행 문자 표시 & 표시 제거
:%s/문자열1/문자열2/g 문자열1을 문자열2로 치환
:r 다른 파일을 불러들여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
:e 지정한 파일로 전환
:n vi 시작 시 여러 파일을 저장했을 경우 다음 파일 작업을 이동

 

etc. vi 에디터에서 shell 명령어 사용하기

기능
:! shell명령 vi 작업을 잠시 중단 후 shell 명령 실행
:sh  vi를 잠시 빠져나간 후, shell 명령 실행. 이후 exit을 통해 다시vi에디터로 돌아옴. 

 

cc, cw, p52

네임드버퍼..

정규식

'Study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파일의 위치확인 및 압축과 묶기  (0) 2022.03.12
[Linux] 사용자 정보 관리  (0) 2022.03.12
[Linux] vi editor 실습  (0) 2022.03.08
[Linux] 리눅스 기초  (0) 2022.03.05
[컴퓨터 용어] 컴퓨터 용어 기초  (0) 2022.03.05